* 소개:
다리를 이용한 패턴은 근육약화, 조화운동불능, 관절의 제한들로 인한 골반과 다리의 기능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신체의 구조와 기능 수준에서 사용된다. 또한, 몸통을 운동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다리 패턴에는 모든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기본절차:
- 대각선 움직임
엉덩관절과 발목-발 복합체는 시너지 패턴으로 함께 묶여있다. 패턴의 정상적인 타이밍은 발가락, 발, 발목이 먼저 움직이고 다른 관절들은 그 범위에 맞추어 같이 움직인다.
- 환자의 위치
환자를 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시킨다. 환자의 척주는 옆으로 굽거나 돌림이 없이 중립위치가 되기를 권한다.
- 치료사의 위치
치료사는 환자의 골반의 대각선에 선다.
- 잡는 방법
발에서의 잡기는 돌림 요소에 대한 저항을 위하여 발등 또는 발바닥 그리고 발의 옆면과 같은 활동적인 표면에 접촉한다. 통증은 효과적인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 저항
너무 많은 양의 저항은 골반의 앞쪽올림 대신에 뒤쪽 기울어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타이밍을 생각하며 저항량을 조절해야 한다.
- 견인과 압축
움직임의 시작 동안은 견인을 사용한다. 다리가 폄 상태에 있을 때 폄을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을 사용하고, 다리가 굽힘 상태에 있을 때는 굽힘을 유지하기 위해서 견인을 사용한다. 압축은 일반적으로 안정화를 위해 사용하지만, 움직임에서 근육의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두자.
- 정상타이밍
먼쪽 구성요소 -> 몸쪽 구성요소
- 강조의 타이밍
- 신장
-방산과 강화
'건강 > 신경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PNF, 상지(팔)에 대하여 (0) | 2025.02.25 |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보바스적 관점)-2 척주(Vertebral Column) (0) | 2025.02.19 |
한국신경근육물리치료학회 feat TONA(Task-oriented neuromuscular approach) (0) | 2025.01.12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보바스적 관점)-1 (0) | 2024.11.25 |
어깨뼈의 움직임들 (0)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