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 284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흉곽의 비틀림(Distorted configuration of the rib cage)

갈비뼈의 고정 또는 흉곽의 구축에 의해서 몸통 자체의 운동이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몸통 상부의 굽힘을 동반한 회전은 영향이 크다. 등뼈의 회전을 동반한 굽힘은 기능적 활동 즉, 몸의 가쪽이나 앞 옆쪽으로 어떠한 것을 들어올리거나 공간에 유지하는 동작에 매우 많이 관찰되는 복합운동이다. 이 운동은 갈비뼈에 의해서 방해되지만 정상에서는 갈비뼈 자체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척추뼈가 회전해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갈비뼈가 위쪽에서부터 당겨 올려져 고정된 상태에 놓인 경우, 갈비뼈몸통 고유의 유연성이 상실되어 등뼈가 굽힘, 회전 그리고 옆쪽굽힘을 하는데에 필요한 가슴벽의 형상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치료에 있어서 능동/수동 운동 어떤 종류의 운동에서도 가슴벽의 움직임이 멈춰있는 것처럼 보이..

건강/신경계 2025.04.08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호흡곤란과 말하기의 어려움

* 배의 근육이 이완하여 활동이 없는 경우, 흉곽은 들이시기 위치로 유지되고 당연히 호흡근이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없게 된다. 폄근의 과도한 활동에 의해서 젖힘(과다폄)이 되어있는 척주가 원인으로 앞쪽으로 길게 지레의 팔을 뻗히고 있는 갈비뼈는 복장뼈와 함께 올라가 있다. 이 올라감은 가슴 근육군의 근육긴장이 조기부터 항진함으로써 한층 강화된다. 또한 환자가 전신에 미치는 폄의 전체적 패턴을 사용하여 마비쪽의 팔을 움직이려고 하여 이러한 근육 활동을 높이기 때문에 이것도 역시 그 원인이 된다. 갈비뼈는 배의 근육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로 끌어내려지지 않고 흉곽의 형태는 일그러져 있다. 흉곽의 운동도 역시 비정상이다. 환자의 흉곽은 항상 올라가 있기 때문에 탄성에 의한 복원을 이용하는 정상적인 움직임..

건강/신경계 2025.04.07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패턴 운동과 정상발달에 관하여

* 편마비 환자의 경우, 정상적인 패턴에서의 운동을 하기가 어렵다.편마비 때문에, 그리고 그 중증 정도에 따라서 성인 환자의 운동능력은 조기 발달수준으로 퇴행한다. 많은 환자가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뇌졸중으로 쓰러진 첫날에 환자는 자기가 "갓난아기처럼 무력하다"고 느낀다. 침대에서 몸을 구르지도 못하고, 도움없이 앉기, 걷기가 불가능하다. 이 퇴행은 운동기능에만 적용되는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환자를 아이처럼 생각하면 안된다. 하지만, 환자의 운동능력을 정상적인 아동과 비교하는 것은 재활에서 운동상의 문제를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 정상적인 운동발달과 관련하여 흔히 관찰되는 문제는?편마비 환자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이 활동상의 문제는 어떤 자세 또는 구체적인 ..

건강/신경계 2025.04.03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선택적 근육활동의 결여 (Loss of Selective Activity)

* 몸통의 근육몸통의 다양한 근육군의 선택적 활동이 상실됨으로써 환자는 보행할 때 등에 배의 근육(굽힘근)을 분리해서 사용할 때, 등뼈도 굽혀져 폄 위치로 안정화하여 둘 수 없게된다. 몸통의 옆쪽굽힘을 하거나 한쪽을 앞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한쪽만의 배의 근육을 사용할 때도 등뼈를 편 위치로 유지할 수 없게된다. * 팔다리의 근육환자는 몸통을 팔다리와 같은 패턴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팔다리를 움직일수도 없다. 또한 팔다리를 움직이지 않고 몸통을 움직일수도 없다. 환자가 누운자세에서부터 일어날 때 양다리도 함께 굽혀진다. 다리를 굽히지 않으면 동작이 어려워진다. 선 자세에서 환자가 한쪽 다리를 앞쪽으로 들어올리면 몸통은 굽혀진다. 마찬가지로 다리를 뒤쪽으로 펴면 등도 펴진다.

건강/신경계 2025.04.02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활동과 긴장성이 양쪽성으로 상실되는 원인에 대하

* 배곧은근을 제외하고 다른 어떤 배쪽의 근육도 백색선에 연결되는 중앙의 널힘줄에 절반 이상 부착하여 있기 때문에 왼쪽과 오른쪽의 근육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양쪽의 대칭이 잘 맞아야 한다. 즉, 한쪽의 문제는 다른 한쪽의 문제를 유발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초기 단계에서 환자는 어떻게 해서든 움직이려고 하여 보상적으로 근육을 사용하기 시자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등의 폄근을 이용하여 엉덩관절의 자세를 바꾸려고 한다. 비마비쪽의 근육이 수축하면 마비 쪽의 배벽은 지속적으로 신장되고 수축한 근육을 고정하기 위한 의지할 곳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배 곧은근은 그 이는곳과 닿는곳이 위는 갈비연골 이외에 복장뼈 칼돌기에 부착하고 아래는 두덩뼈와 같은 뼈에 부착하기 때문에 다른 배벽의 근육과 비교..

건강/신경계 2025.04.01

성인 편마비 운동치료 - 편마비환자의 몸통 활동의 소실에 대하여

* 어쨌든, 몸 한쪽의 운동조절이 상실되는 것이 편마비 환자의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팔, 다리를 움직일 수 없고, 전체적인 패턴(mass pattern)이 되어 강직(spasticity)가 나타나며, 운동이 획일적인 공동운동이 일어난다. 이미 밝혀진데로 몸통을 조절하는 근육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큰 문제가 되며, 특히 몸통의 굽힘, 회전 그리고 옆쪽 굼힘에 작용하는 근육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편마비 환자는 요구되는 근육활동의 방식이 어떻든간에, 중력이 작용하는 동안에 몸통을 움직이기 힘든 경험을 하게 된다. 배의 근육은 그 근육긴장과 근육활동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흉곽은 위쪽으로 당겨져 가쪽으로 넓어진다. 팔이음뼈는 양쪽 모두 올라가고 목이 짧아..

건강/신경계 2025.03.28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의 근육활동의 방식

* 몸통에 작용하는 근육 활동에는 다음과 같은 세종류의 운동이 일어난다. 1) 중력과 반대방향으로의 운동(구심성 근육활동), 2) 몸에 작용하는 중력이나 기타의 힘에 의해서 야기되는 운동을 억제하는 운동(등척성 근육활동), 3) 운동을 중단하거나 중력방향으로 운동을 조절하는 것(원심성 근육활동) 1) 중력과 반대방향으로의 운동사람은 일어난 순간부터 끊임없이 자세를 바꾸고 또한 이를 위해 중력에 저항하여 몸통을 움직여야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침대에서 몸을 굴려 누운자세에서부터 일어나고 앉은 자세에서부터 선 자세가 되며, 그리고 어떤 물건을 쥐거나 다양한 곳으로부터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한다.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때도, 우리는 앞서 배운 "촉수의 위쪽 근육"과 "브리지의 아래쪽 근육"은 단축하여 바닥에서부..

건강/신경계 2025.03.26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서의 호흡

* 호흡 몸통의 폄근과 굽힘근은 모두 호흡과 직접 연관성이 있고 들이쉬기에는 폄이, 내쉬기에는 굽힘이 연관성이 있다. 그러나 길항근군의 근육 장력이 상반성으로 적절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호흡에 의해서 척주가 움직이는 일은 없다. 등뼈가 과도하게 후만을 하여있어 흉곽을 압축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허파의 용량이 감소한다. 등뼈의 폄근은 흉곽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호흡에 배의 근육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그 이는곳을 안정화한다.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을 세 군으로 나눌 수 있다. 가로막, 갈비사이근과 보조근, 배의 근육으로 나누고 모두 복잡하게 서로 협동하여 들이쉬기와 내쉬기에 작용한다. 배곧은근, 배가로근, 배바깥빗근/배속빗근을 포함한 배의 근육은 보통 허파 자체의 탄성(passive recoil)을 ..

건강/신경계 2025.03.25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에 대하여 (Abdominal muscles)

* 배의 근육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근육의 이는 곳이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곳은 골반, 흉곽 그리고 중앙의 널힘줄(건막)의 여러 곳에 있고 몸통의 일부가 움직임으로써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곳과 닿는 곳은 동작에 따라서 끊임없이 바뀌기 때문에 용어에 충실하게 그것을 정의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사실이다. 누운 자세, 앉은 자세 그리고 선 자세에서는 골반은 엉덩관절 주위근육의 작용에 의해서 안정화된다. 앉은 자세와 누운자세에서는 양 다리의 무게에 의해서도 고정이 얻어진다. 골반을 움직이거나 그 움직임을 억지하는 동작에서는 배의 근육이 수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는 곳인 흉곽의 안정성이 요구되고 더욱이 이것에는 등뼈의 선택적인 폄이 필요조건이 된다. 등뼈가 과도하게 후만하여 척주가 굽혀져..

건강/신경계 2025.03.20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팔이음뼈에 대하여

팔이음뼈는 척주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잡한 근육활동에 의해서 팔을 움직이는 데에 필요한 견고함과 충분한 동적 지지성이 필요하다. "앞톱니근(전거근)은 작은가슴근(소흉근)과 함께 어깨뼈를 앞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손을 뻗히거나 물건을 밀거나 하는 운동 모두에 관여하는 주요한 근육이다." 또한 앞톱니근은 어깨뼈의 위쪽회전을 시키거나 아래쪽 회전을 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앞톱니근과 작은가슴근은 흉곽에 부착하고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려면 가슴(thorax)의 안정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슴의 안정성이 상실되면 이들 2개의 근육은 어깨뼈를 움직이거나 그 위치로 유지하는 대신에 갈비뼈를 올라가게 한다. 마찬가지로 큰 가슴근은 동작할 때의 팔의 많은 운동에 관여한다. 그 이는곳은 빗장뼈와 ..

건강/신경계 2025.03.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