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리지 (The Bridge)
"브리지"란 몸의 2개 부분이 지지면과 접하고 그 2개 부분 사이에 끼인 몸의 부분을 지지면에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브리지의 아치는 그 아치의 아래쪽에 있는 근육의 활동에 의해서 지지된다.
예시1) 양 엉덩관절과 양 무릎관절을 굽히고 등을 바닥에 댄 누운 자세가 되고 그 자세에서부터 엉덩이를 들어올려 바닥 면에서부터 떼면 등 및 엉덩관절의 폄근군은 브리지의 아치를 지지하는 활동을 한다.
예시2) 엎드려팔굽혀펴기를 하면 양 팔이 브리지의 기둥이 되고 몸통과 양 엉덩이가 브리지의 아치가 된다. 아치를 지지하는 근육은 이 경우 아래쪽에 있는 배의 근육군과 엉덩관절 굽힘근군이며 허리 윗면의 폄근군은 이완한 채로 있게 된다.
* 촉수 (Tentacle)
"촉수"란 몸의 먼쪽 끝이 제약을 받지 않고, 즉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중력에 저항하여 움직이고 있는 상태이다. 이 몸의 일부가 완전히 수직이 아닌 경우, 이 "촉수"를 지지하는 근육활동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의 위쪽 근육에 일어난다.
예시1)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양 팔을 사용하지 않고 머리와 양 어깨를 지지면에서부터 들어올린다. 이 "촉수"를 유지하는 근육은 등과 턱의 폄근군이다.
예시2) 양 발을 바닥에 짚고 끝에 걸터앉은 자세를 취하여 몸통을 뒤쪽으로 기울인다. 이 경우의 "촉수"는 머리와 몸통이며 이것을 지지하는 근육은 가장 위쪽의 근육인 목 앞면의 근육군, 배의 근육군, 그리고 엉덩관절 굽힘근이다. 반대로 몸통이 중력선보다 앞으로 움직이는 순간 목과 등의 폄근군이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한다.
'건강 > 신경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 대한 해부학적 고찰 (0) | 2025.03.18 |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근육에 의한 몸통 조절 (0) | 2025.03.13 |
PNF, 몸통(Trunk)에 대하여 (0) | 2025.03.06 |
PNF, 목(Neck)에 대하여 (3) | 2025.03.04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의 조절에 대한 검토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