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신경계

PNF, 몸통(Trunk)에 대하여

키스너 2025. 3. 6. 10:09
728x90
반응형
SMALL

* 소개:

몸통은 좋은 기능을 갖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몸통의 조절은 팔, 다리의 움직임을 뒷받침해준다. 예를 들어, 몸통근육의 수축은 팔의 움직임을 보조해주고, 팔에서 움직임이 일어나기 전에, 몸통에서 수축이 먼저 일어난다. 신경계 질환환자들은 여기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환자의 몸통이 불안정할 때, 팔/다리에서의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PNF에서 몸통 패턴을 쓰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 저항과 함께 사용되는 하부 몸통 패턴은 목이나 어깨뼈 주변의 근육들을 위한 방산을 제공하여 간접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 상부 몸통 패턴은 환자의 넙다리뼈와 골반의 움직임에 따른, 엉덩관절 운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몸통에 저항을 주는 활동들은 다른 신체 부위인 팔, 다리의 방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 치료 과정:

- 대각선 움직임

몸통의 굽힘과 폄 패턴은 3가지 움직임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굽힘/폄, 가쪽굽힘, 돌림, 폄/굽힘 움직임을 위한 축은 부리돌기에서 반대편 위앞엉덩뼈가시까지를 연결한 선이 움직임에 대한 축이 된다. 몸통 돌림 움직임은, 척추의 각 분절의 돌림 움직임을 강조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다시 말해, 윗 몸통이 왼쪽으로 돌림한다는 것은, 오른쪽 어깨가 왼쪽 엉덩뼈로 움직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하부 몸통의 왼쪽 돌림은 오른쪽 엉덩뼈가 왼쪽 어꺠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 환자의 자세

바로 누운자세: 위쪽, 아래쪽 몸통의 굽힘과 폄, 측방 굽힘에 좋은 자세이다.

옆으로 누운자세: 위쪽, 아래쪽 몸통의 굽힘과 폄에 좋은 자세이다.

엎드려 누운자세: 위쪽 몸통의 폄과 측방 굽힘에 좋은 자세이다.

앉은자세: 위쪽 몸통의 굽힘과 폄, 목을 이용한 위쪽 몸통의 측방 굽힘, 위쪽 몸통에서 아래쪽 몸통과 엉덩관절의 움직임을 위한 방산을 위한 좋은 자세이다.

- 저항

환자의 몸통근육이 수축하거나, 근육 수축이 눈으로 관찰될때까지 한다.

- 정상 타이밍

몸통근육에서 안정화를 만들고 난 후, 팔/다리에서의 움직임이 시작된다. 

- 강조의 타이밍

몸통 움직임에서, 강조의 타이밍을 위해 팔/다리의 움직임을 마지막 범위에서 제한해야 한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