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개:
목 패턴은 가장 좋은 머리 조절과 목뼈의 정확한 자세와 운동을 위해 실시하고 이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움직임 중 하나이다. 더욱이 목 패턴은 몸통의 동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목뼈와 등뼈의 기능장애를 치료하고자 할 때 사용할수도 있다.
* 기본절차:
- 대각선 움직임
목 패턴은 다른 패턴과 같이 3가지 운동요소를 포함한다. 굽힘/폄, 가쪽 굽힘, 돌림. 목 패턴의 먼쪽 요소는 윗목뼈이다. 이 운동은 짧은 목 굽힘 또는 짧은 목 펴기로 불린다. 몸쪽 요소는 아랫목뼈와 윗등뼈 6번까지이다. 이 운동을 긴 목 움직임이라고 한다. 목 패턴시 눈의 움직임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눈의 움직임은 머리의 움직임을 강화시킨다. 목 운동을 유도할 때는 바라보는 특별한 지점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좋다. 목 운동은 다음과 같은 4가지가 있다: 굽힘-오른쪽 가쪽 굽힘 - 오른쪽 돌림/ 폄-왼쪽 가쪽 굽힘-왼쪽 돌림, 굽힘-왼쪽 가쪽 굽힘-왼쪽 돌림/폄-오른쪽 가쪽 굽힘-오른쪽 돌림.
- 환자의 자세
앉은 자세는 목 운동과 안정성을 위한 기능적인 자세이다. 팔꿈치로 엎드린 자세에서는 목 굽힘근이 중력의 도움을 받는 반면 폄 근은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여야 한다. 바로 누운자세는 목 굽힘이 중력에 대항하여야 한다. 옆으로 누운자세는 중력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치료 목적과 환자 목 근육의 힘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치료사의 자세
환자의 대각선 목 운동을 조절하면서 볼 수 있는 최상의 위치는 중심에서 펴는 쪽에 있는 것이다. 환자가 바로 누운 자세나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는 환자 뒤에 서는 것이 좋고, 엎드린 자세, 앉은 자세, 또는 선자세일 때는 환자의 앞 또는 뒤에 설 수 있다.
- 잡는 방법
턱과 머리 위에 손을 올린다. 턱 잡기는 윗목 굽힘 또는 폄과 돌림을 조절한다. 턱관절의 한쪽으로 치우치는 부하를 피하기 위해 턱 중심에서 압박을 준다. 머리 잡기는 아랫(긴)목 굽힘/폄, 돌림, 가쪽 운동을 조절한다.
- 저항
아랫턱뼈 선을 따라서 턱에 저항을 준다. 돌림에 저항을 주는 동안 폄에 대해 저항이 가해지도록 안으로 밀고, 굽힘에 저항을 가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견인한다. 치료사의 몸쪽 손은 돌림, 가쪽과 앞 또는 뒤의 움직임에 저항을 준다.
- 정상적인 타이밍
먼 쪽(턱 운동)에서부터 몸 쪽까지(목 운동)이다.
'건강 > 신경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브리지(Bridge)와 촉수(Tentacle) (0) | 2025.03.12 |
---|---|
PNF, 몸통(Trunk)에 대하여 (0) | 2025.03.06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의 조절에 대한 검토 (0) | 2025.02.27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보바스적 관점)-3 흉곽의 운동(Movements of the Rib Cage) (0) | 2025.02.26 |
PNF, 하지(다리)에 대하여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