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이음뼈는 척주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잡한 근육활동에 의해서 팔을 움직이는 데에 필요한 견고함과 충분한 동적 지지성이 필요하다. "앞톱니근(전거근)은 작은가슴근(소흉근)과 함께 어깨뼈를 앞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손을 뻗히거나 물건을 밀거나 하는 운동 모두에 관여하는 주요한 근육이다." 또한 앞톱니근은 어깨뼈의 위쪽회전을 시키거나 아래쪽 회전을 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앞톱니근과 작은가슴근은 흉곽에 부착하고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려면 가슴(thorax)의 안정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슴의 안정성이 상실되면 이들 2개의 근육은 어깨뼈를 움직이거나 그 위치로 유지하는 대신에 갈비뼈를 올라가게 한다. 마찬가지로 큰 가슴근은 동작할 때의 팔의 많은 운동에 관여한다. 그 이는곳은 빗장뼈와 복장뼈의 앞면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참갈비뼈의 갈비연골, 그리고 배바깥빗근의 널힘줄에까지 이르고 있다. 따라서 그 이는곳이 되는 부위가 아래에서부터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 않다면 가슴근육은 분명히 흉곽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러한 근육을 효율적으로 기능을 시키려면 배벽의 근육이 갈비뼈를 아래쪽으로 유지하도록 그에 맞춰 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해야 한다. 배빗근 특히 앞톱니근과 그 근육 끝을 서로 맞물리게 하고 있는 배바깥빗근은 배곧은근(복직근)의 부착부분이 그러한 것처럼 그 절묘한 배열에 의해서 가슴근육군의 작용에 따라서 갈비뼈를 아래쪽으로 잘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척주를 펴거나 팔을 올릴때 흉곽은 올라가버린다. 팔이음뼈가 가져오는 몸쪽부붙의 고정에 의해서 어깨관절의 운동에 작용하는 모든 근육은 그것을 다양하고 복잡하게 움직일 수 있다. 그 팔이음뼈의 작용은 흉곽의 고정성에 의해서 좌우된다. 흉곽의 이러한 고정은 몸통의 굽힘근과 폄근의 끊임없는 세밀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건강 > 신경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서의 호흡 (0) | 2025.03.25 |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에 대하여 (Abdominal muscles) (0) | 2025.03.20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 대한 해부학적 고찰 (0) | 2025.03.18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근육에 의한 몸통 조절 (0) | 2025.03.13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브리지(Bridge)와 촉수(Tentacle)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