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통에 작용하는 근육 활동에는 다음과 같은 세종류의 운동이 일어난다. 1) 중력과 반대방향으로의 운동(구심성 근육활동), 2) 몸에 작용하는 중력이나 기타의 힘에 의해서 야기되는 운동을 억제하는 운동(등척성 근육활동), 3) 운동을 중단하거나 중력방향으로 운동을 조절하는 것(원심성 근육활동)
1) 중력과 반대방향으로의 운동
사람은 일어난 순간부터 끊임없이 자세를 바꾸고 또한 이를 위해 중력에 저항하여 몸통을 움직여야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침대에서 몸을 굴려 누운자세에서부터 일어나고 앉은 자세에서부터 선 자세가 되며, 그리고 어떤 물건을 쥐거나 다양한 곳으로부터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한다.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때도, 우리는 앞서 배운 "촉수의 위쪽 근육"과 "브리지의 아래쪽 근육"은 단축하여 바닥에서부터 몸통을 떼도록 작용한다. 운동속도에 따라 근육활동의 양은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운동속도가 느려질수록 근육활동의 양은 커진다.
2) 몸에 작용하는 중력이나 그 이외의 힘에 의해서 야기되는 운동을 방지하는 운동
자세를 유지하는데에도 중력방향으로 몸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근육활동이 필요하며, 그것에 의해서 다양한 균형반응의 기반이 제공된다. 팔을 올린 경우에는 그 긴 지레의 팔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몸통을 확고하게 유지해야 한다. 손에 물건을 들고 있으면 그 무게는 더욱 무거워진다. 머리, 팔 그리고 다리를 동반하는 균형반응에서는 몸통으로부터의 근육활동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호흡 운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몸통근육은 고정근 또는 안정근으로서 작용한다.
3) 중력방향으로 일어나는 운동속도를 조절하는 원심성 운동
일상생활에서 물건에 손을 뻗거나 물건을 어떤 것 위에 놓고나 몸을 굽히거나 앞쪽, 뒤쪽 그리고 옆쪽으로 기울이는 동작들을 하게 된다. 이 때, 중력에 저항하도록 작용하는 한쪽의 몸통근육은 끈을 양손으로 번갈아 잡아당기는 것처럼 브레이크를 걸어서 운동의 범위와 속도를 조절한다. 폄근과 배의 근육은 비행하려고 하는 운동이나 유지하고 있는 자세에서 끊임없이 활동 양식을 바꾼다.
몸통에 근육들도 참 생각해볼 문제이다. 굳!!!
'건강 > 신경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활동과 긴장성이 양쪽성으로 상실되는 원인에 대하 (0) | 2025.04.01 |
---|---|
성인 편마비 운동치료 - 편마비환자의 몸통 활동의 소실에 대하여 (0) | 2025.03.28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서의 호흡 (0) | 2025.03.25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에 대하여 (Abdominal muscles) (0) | 2025.03.20 |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팔이음뼈에 대하여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