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54

뇌줄기의 구성 2

뇌졸기의 등쪽 부분은 뒤로 크게 뻗어 나온 대뇌의 뒤통수엽과 소뇌로 덮여 있다. 이를 제거하면 뇌줄기의 등쪽면을 볼 수 있다. 사이뇌로 이어지는 중간뇌 등쪽에는 위둔덕과 아래둔덕이 보인다. 다리뇌와 숨뇌 상부의 등쪽은 넷째뇌실의 바닥 부분이며 마름오목이라고 부른다. 숨뇌 하부에는 널판다발과 쐐기다발이 이루는 뚜렷한 융기가 보인다. * 제3뇌실: 사이뇌 한가운데 있는 뇌실, 중간뇌수도관으로 이어진다. * 위둔덕: 중간뇌 등쪽 위에 있는 한쌍의 돌출부. 내부에 위둔덕핵이 있다. 위둔덕핵은 시각의 통합에 관여한다. * 아래둔덕: 중간뇌 등쪽 아래에 있는 한쌍의 돌출부. 내부에 아래둔덕핵이 있다. 아래둔덕핵은 청각의 중계핵이다. * 네둔덕체: 위둔덕과 아래둔덕을 합해 네둔덕체라고 한다. * 마름오목: 넷째뇌실의..

건강/신경계 2024.02.12

뇌줄기의 구성 1

뇌줄기는 사이뇌의 꼬리쪽에 가까운 영역으로 위쪽(머리쪽)부터 중간뇌, 다리뇌, 숨뇌로 구성된다. 다리뇌의 배쪽은 크게 부풀어 있으며, 중간뇌와의 경계인 다리뇌앞고랑과 숨뇌와의 경계인 다리뇌뒤고랑이 명확히 보인다. 숨뇌와 척수의 경계에는 큰구멍의 아래모서리가 위치하며 그 밖에 뚜렷이 드러나는 부분은 없다. 뇌줄기에는 호흡과 순환, 의식 조절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이 갖춰져 있다.

건강/신경계 2024.02.11

몸감각수용기

피부감각과 근육, 힘줄의 고유감각 등 몸감각은 피부의 표피, 진피, 피부밑조직(피하조직)에 분포하는 메르켈원반, 마이스너소체, 루피니종말, 파치니소체, 모낭수용기 및 복잡하게 갈라지는 자유신경종말 등에서 수용된다. * 자율신경종말: 진피 또는 표피에서 말초가지 끝부분이 복잡하게 갈라지며 신경섬유그물을 만든다. 통각과 온도감각을 수용한다. * 모낭수용기: 모낭에 감겨 있는 신경종말 * 파치니소체: 진피 아래층과 피부밑조직에 있는 지름 1mm 정도의 큰 층판상 구조. 압력과 진동을 수용하며 피부 변위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적응이 빠르고 감도가 높다. * 루피니종말: 피부 아래층과 피부밑조직에서 소포에 싸여 있는 신경종말. 응답은 피부변위의 크기에 비례한다. 적응이 느리다. * 마이스너소체: 진피의 유두 속에..

건강/신경계 2024.02.10

척수 전도로

특정 신경정보를 전달하는 섬유가 말초에서 뇌로, 또는 뇌에서 말초로 가는 경로를 전도로라고 한다. 촉각을 전달하는 섬유, 통각과 온도감각을 전달하는 섬유, 맘대로운동(수의운동)을 명령하는 섬유 등 다양한 정보를 나르는 신경섬유는 종류별로 묶여 다발을 이루며 중추신경계통의 정해진 장소를 통과한다. - 널판다발: 하반신의 촉각을 전달 - 쐐기다발: 상반신의 촉각을 전달 가쪽겉질척수로: 피라미드로섬유 중 약 90%의 섬유는 숨뇌 하부에서 교차하며, 가쪽겉질척수로를 내려간다. 척수의 주요 피라미드로 - 적색척수로: 적색핵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피라미드바깥로섬유 - 그물척수로: 다리뇌 또는 숨뇌그물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섬유. 앞뿔세포와 통하는 피라미드바깥로섬유이자 자율신경계통의 내림로 - 앞척수소뇌로: 하위 척수로..

건강/신경계 2024.02.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