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신경계 167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배의 근육에 대하여 (Abdominal muscles)

* 배의 근육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근육의 이는 곳이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곳은 골반, 흉곽 그리고 중앙의 널힘줄(건막)의 여러 곳에 있고 몸통의 일부가 움직임으로써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곳과 닿는 곳은 동작에 따라서 끊임없이 바뀌기 때문에 용어에 충실하게 그것을 정의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사실이다. 누운 자세, 앉은 자세 그리고 선 자세에서는 골반은 엉덩관절 주위근육의 작용에 의해서 안정화된다. 앉은 자세와 누운자세에서는 양 다리의 무게에 의해서도 고정이 얻어진다. 골반을 움직이거나 그 움직임을 억지하는 동작에서는 배의 근육이 수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는 곳인 흉곽의 안정성이 요구되고 더욱이 이것에는 등뼈의 선택적인 폄이 필요조건이 된다. 등뼈가 과도하게 후만하여 척주가 굽혀져..

건강/신경계 2025.03.20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팔이음뼈에 대하여

팔이음뼈는 척주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잡한 근육활동에 의해서 팔을 움직이는 데에 필요한 견고함과 충분한 동적 지지성이 필요하다. "앞톱니근(전거근)은 작은가슴근(소흉근)과 함께 어깨뼈를 앞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손을 뻗히거나 물건을 밀거나 하는 운동 모두에 관여하는 주요한 근육이다." 또한 앞톱니근은 어깨뼈의 위쪽회전을 시키거나 아래쪽 회전을 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앞톱니근과 작은가슴근은 흉곽에 부착하고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려면 가슴(thorax)의 안정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슴의 안정성이 상실되면 이들 2개의 근육은 어깨뼈를 움직이거나 그 위치로 유지하는 대신에 갈비뼈를 올라가게 한다. 마찬가지로 큰 가슴근은 동작할 때의 팔의 많은 운동에 관여한다. 그 이는곳은 빗장뼈와 ..

건강/신경계 2025.03.19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에 대한 해부학적 고찰

* 치료사로서의 해부학적 고찰의 이유?몸통에 대해선 여러 해부학 책에서 기술되어 지고 있다. 팔다리를 몸통에 연결하는 근육 즉, 팔다리를 효율적으로 움직이는데 몸통을 안정성의 의지할 곳으로 하고 있는 근육에 대해서도 다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치료사의 입장에서부터 시작하여 해부학을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폄(Extension)중력에 저항하여 몸통을 펴는 근육은 크고 강력하다. 이유는 머리의 무게와 기능적인 동작을 할 때의 양 팔의 긴 지레의 팔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이다(흉요근막). 그 대부분은 갈비뼈에 부착하여 있고 척주를 펴면 직접적이건 간접적이건 대부분의 근육은 갈비뼈목(늑골경)을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고 그 결과 갈비뼈몸통(늑골체)은 앞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 흉곽의 앞쪽으로의 올림은 갈비뼈..

건강/신경계 2025.03.18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근육에 의한 몸통 조절

* 몸통은 굽힘, 폄, 옆쪽굽힘 그리고 회전의 운동이 가능하다. 운동이나 자세유지에 있어서는 이러한 움직임 중 2개 이상이 조합되는 경우도 있다. "브리지"나 "촉수"에 적용되는 원칙은 여기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몸통의 운동, 즉, 몸통의 조절에 작용하는 주된 근육은 등의 폄근과 배벽을 형성하는 근육군으로 두가지이다. 배의 근육은 그 기계적 배열방법과 많은 분절로부터의 신경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근육과 달리 전체로서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수많은 다양성을 가진 몸통의 운동과 자세가 가능해지고 머리, 어깨 그리고 엉덩관절에 작용하는 근육에 안정된 의지할 곳을 제공하고 있다. Bobath(1971)가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수많은 다양성이 풍부한 상반신경..

건강/신경계 2025.03.13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브리지(Bridge)와 촉수(Tentacle)

* 브리지 (The Bridge)"브리지"란 몸의 2개 부분이 지지면과 접하고 그 2개 부분 사이에 끼인 몸의 부분을 지지면에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브리지의 아치는 그 아치의 아래쪽에 있는 근육의 활동에 의해서 지지된다.  예시1) 양 엉덩관절과 양 무릎관절을 굽히고 등을 바닥에 댄 누운 자세가 되고 그 자세에서부터 엉덩이를 들어올려 바닥 면에서부터 떼면 등 및 엉덩관절의 폄근군은 브리지의 아치를 지지하는 활동을 한다. 예시2) 엎드려팔굽혀펴기를 하면 양 팔이 브리지의 기둥이 되고 몸통과 양 엉덩이가 브리지의 아치가 된다. 아치를 지지하는 근육은 이 경우 아래쪽에 있는 배의 근육군과 엉덩관절 굽힘근군이며 허리 윗면의 폄근군은 이완한 채로 있게 된다.* 촉수 (Tentacl..

건강/신경계 2025.03.12

PNF, 몸통(Trunk)에 대하여

* 소개:몸통은 좋은 기능을 갖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몸통의 조절은 팔, 다리의 움직임을 뒷받침해준다. 예를 들어, 몸통근육의 수축은 팔의 움직임을 보조해주고, 팔에서 움직임이 일어나기 전에, 몸통에서 수축이 먼저 일어난다. 신경계 질환환자들은 여기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환자의 몸통이 불안정할 때, 팔/다리에서의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PNF에서 몸통 패턴을 쓰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저항과 함께 사용되는 하부 몸통 패턴은 목이나 어깨뼈 주변의 근육들을 위한 방산을 제공하여 간접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상부 몸통 패턴은 환자의 넙다리뼈와 골반의 움직임에 따른, 엉덩관절 운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몸통에 저항을 주는 활동들은 다른 신체 부위인 팔, 다리의 방산을 제공하..

건강/신경계 2025.03.06

PNF, 목(Neck)에 대하여

* 소개:목 패턴은 가장 좋은 머리 조절과 목뼈의 정확한 자세와 운동을 위해 실시하고 이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움직임 중 하나이다. 더욱이 목 패턴은 몸통의 동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목뼈와 등뼈의 기능장애를 치료하고자 할 때 사용할수도 있다.  * 기본절차:- 대각선 움직임목 패턴은 다른 패턴과 같이 3가지 운동요소를 포함한다. 굽힘/폄, 가쪽 굽힘, 돌림. 목 패턴의 먼쪽 요소는 윗목뼈이다. 이 운동은 짧은 목 굽힘 또는 짧은 목 펴기로 불린다. 몸쪽 요소는 아랫목뼈와 윗등뼈 6번까지이다. 이 운동을 긴 목 움직임이라고 한다. 목 패턴시 눈의 움직임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눈의 움직임은 머리의 움직임을 강화시킨다. 목 운동을 유도할 때는 바라보는 특별한 지점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좋다..

건강/신경계 2025.03.04

성인편마비 운동치료 - 몸통의 조절에 대한 검토

척주는 전체로서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아래위로 인접하는 척추뼈와 연관하여 부분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것은 일련의 작은 지레팔의 움직임이라 생각할 수 있다. 척추뼈를 벽돌을 쌓아 올린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정화되어 있지 않다면 작은 벽돌하나의 움직임만으로도 무너져 버릴수 있다.  제4경추 또는 제5경추 SCI환자가 주의 깊게 자세를 잡다가도 머리를 움직이거나 팔을 들어올리는 움직임에 자세는 무너져 버리기도 한다. 그래서 Steindler(1955)는 우리가 몸을 중력중심선 위에 완전히 올려놓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이야기 했다. Murray(1975)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인간은 척추뼈의 형태와 그것을 지지하는 인대에 의해서 몸의 중량을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이동시키거나 그 자리에 유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갖고..

건강/신경계 2025.02.27

성인편마비 운동치료(보바스적 관점)-3 흉곽의 운동(Movements of the Rib Cage)

갈비뼈는 각각 운동범위와 방향이 다른데 이러한 운동이 결합하여 흉곽 특유의 호흡운동이 가능해진다. 각 갈비뼈는 지레의 팔이라 생각할 수 있고, 그 받침점은 갈비가로돌기관절에 근접해 있다. 갈비뼈몽통이 올라가면 갈비뼈목은 내려가고 또한 그 반대의 움직임도 나타난다. 갈비뼈몸통과 갈비뼈목에서는 그 길이가 차이가 있어 척추뼈 쪽의 끝이 약간 움직인 것만으로도 그 앞쪽 끝은 크게 움직임이 일어난다. 각 갈비뼈 머리는 척추뼈몸통과 관절을 이루고 인대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면에서 약간의 미끄럼 운동이 가능할 뿐이다. 마찬가지로 강력한 인대에 의해서 갈비뼈머리와 갈비뼈결절은 척추뼈의 가로동기와 결부되어 있어, 갈비가로돌기관절에서는 약간의 미끄럼 운동만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갈비뼈머리관절과 갈비가로돌기관절은 동시..

건강/신경계 2025.02.26

PNF, 하지(다리)에 대하여

* 소개:다리를 이용한 패턴은 근육약화, 조화운동불능, 관절의 제한들로 인한 골반과 다리의 기능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신체의 구조와 기능 수준에서 사용된다. 또한, 몸통을 운동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다리 패턴에는 모든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기본절차:- 대각선 움직임엉덩관절과 발목-발 복합체는 시너지 패턴으로 함께 묶여있다. 패턴의 정상적인 타이밍은 발가락, 발, 발목이 먼저 움직이고 다른 관절들은 그 범위에 맞추어 같이 움직인다. - 환자의 위치환자를 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시킨다. 환자의 척주는 옆으로 굽거나 돌림이 없이 중립위치가 되기를 권한다. - 치료사의 위치치료사는 환자의 골반의 대각선에 선다. - 잡는 방법발에서의 잡기는 돌림 요소에 대한 저항을 위하여 발등 또는 발바닥..

건강/신경계 2025.02.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