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692

의학용어 이야기 - 신경교와 교세포

'Glia'란 이름은 1846년 독일의 유명한 병리학자인 비르효(Virchow)가 처음 사용했다. 중추신경조직 내에서 신경세포를 서로 붙여주는 풀(glue) 역할을 하는 작은 세포를 'glial cell' 즉 '풀세포'라 하였다. 일본은 이를 '교세포'라 했고, 'neuroglia'는 '신경교', 'neuroglial cells'은 '신경교세포'라고 했다. 지금은 교세포가 '풀'의 역할을 넘어서는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경세포만큼의 흥분성을 띠지 않는다는 것 말고는 신경세포 즉 뉴런과 비교했을 때 그 기능이 덜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신경교는 중추신경조직의 1/2을 차지하며 신경교세포의 수는 뉴런에 10배에 달한다.

건강/기타 2024.08.09

의학용어 이야기 - 뇌하수체와 송과체

뇌하수체와 송과체는 모두 간뇌에 속하는 중요한 내분비 장기이다. 우리가 하수체라고 부루고 있는 'hypophysis'는 그리스어 'hypo(아래)'와 'phuein(자라게 하다)'에서 기원했는데 간뇌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구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간뇌에서 위로 자란 구조인 '송과체'는 'epiphysis'라고 한다. 'hypophysis'와 'epiphysis'는 각각 현대영어로는 'pituitary gland', 'pineal gland'라 부르고 있다.

건강/기타 2024.08.08

의학용어 이야기 - 소장과 대장의 부위에 따른 이름

오장육부 중에 육부에는 소장과 대장이 포함되는데, 소장과 대장은 처음 네들란드어 'de Dunne darmen'과 'de Dikke darmen'을 일본어로 직역한 '박장'과 '후장'이라 하였다. 소장의 시작 부위를 나타내는 용어도 네들란드어를 번역했는데 '십이지' 또는 '일번소장'이라 하였다. 14세기 이후 해부학이 발달하면서 'duodenum'이라는 라틴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Jejunum'은 14세기 후반 라틴어 'ieiunum'에서 시작해 1610년 'jejunum'이 되었는데 '비어 있음'을 의미한다. 'Ileum'의 기원은 1680년 라틴어 'ilia'인데 이것은 옆구리, 사타구니 등을 의미한다. 의학용어 'ileum'과 'ilium(장골)'의 어원이기도 하다. 대장이 시작되는 부위는 '일번..

건강/기타 2024.08.07

의학용어 이야기 -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은 '아킬레스힘줄'이다. 영어로는 'Achilles tendon'인데 이를 학명으로 풀어쓰면 'calcaneal tendon' 즉 '종골건' 혹은 '발꿈치힘줄'이다. 이는 발꿈치뼈와 비복근 즉, 장딴지근을 연결하는 힘줄로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술용어에서 인명이 붙는 용어를 가능하면 배제하는 원칙에 따라 Achilles tendon도 tendo calcaneus로 변경하였으나, 이미 일반에 너무 많이 알려져 현재는 두 가지를 공용하고 있다.

건강/기타 2024.08.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