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826

비침습적 호흡운동법

비침습적(Noninvasive ventilation) 호흡기 관리 1. 몸통 보조기 음압 몸통 호흡기(Negative pressure body ventilator)는 가슴과 상복부를 감싸는 실(chamb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음압을 가하여 간접적으로 호흡을 시키는 기구이다. 철폐(iron lung), chest shell. 그리고 외투형태의 poncho 호흡기가 음압 몸통 호흡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기구들은 호흡장애가 있는 척수손상 환자의 호흡보조 도구로 사용되며, 기관절개 상태에서 비침습적 호흡관리로 전환 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침습적 IPPV법에 비해 이용이 불편하고 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이용빈도가 많지 않다. 몸통에 직접 작용하는 몸통 보조기는 rocking be..

건강/근골격계 2020.02.29

호흡의 평가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호흡과 관련된 지식들이 필요할 것 같아 호흡의 평가요소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호흡수 정상인은 1분에 12~16회 호흡한다. 전체폐용량 : total lung capacity (TLC) 최대 흡기후 폐속에 있는 공기의 총용량으로 정상 성인에서는 평균 5500ml이다. 일회호흡량 : tidal volume (TV) 조용히 편안한 상태에서 폐로 들어왔다 나가는 공기량으로 정상 성인에서는 평균 500ml 이다. 잔류량 : residyal volum (RV) 최대 호기한 후 폐에 남아있는 공기의 양으로 정상 성인에서 평균 1500ml이다. 기능적 잔류량 :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휴식시 호기 후에 폐에 남아있는 공기의 양으로 정상 성인 에서는 평균 2..

건강/근골격계 2020.02.28

직장에서의 스트레칭

* 스트레칭이란? 늘리다는 의미로, 건강과 관련해서는 신체 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 등을 늘여주는 운동으로 근육의 길이를 확장하여 평상시보다 근육을 늘여주는 행동이다. * 직장에서의 효과는? - 근골격계질환 예방 - 넘어짐 등 사고 예방 - 피로회복 - 스트레스 해소 * 일상에서의 효과는? 1) 몸과 마음이 편안해짐 - 몸과 마음의 교신이 가능해져 신체의 각성 수준을 높여줌 -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몸을 편안하게 해줌 - 중추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며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됨 2) 통증이 줄고 피로가 풀림 - 근육 내의 혈액순환이 활발해져 통증을 완화시켜 줌 - 근육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같게 해주어 자세를 교정시켜 줌 - 근육 내의 피로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여 근육의 피로를 풀어줌 3) 운동..

건강/근골격계 2020.02.27

사무직에서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 VDT 증후군은 잘못된 컴퓨터 작업으로 인하여 목이 거북이 목처럼 변형된다 하여 거북목 증후군, 일자목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며 컴퓨터 사용이 많은 직장인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 영상 단말기의 화면을 오랜 시간 바라볼 경우 시력 저하, 눈의 피로와 통증 그리고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시각의 초점이 잘 맞지 않는 증상이 나타난다. 머리, 손, 어깨가 아프고 업무 스트레스가 겹치게 되면 그 피해는 더 커진다. ● 영상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건강장해는 크게 근골격계질환과 시각장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VDT 증후군 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 자세가 바르지 못하여 목, 어깨, 팔, 손목 등에 통증을 일으키며, 시각장해는 실내 밝기의 부적절, 화면 문자와 반짝거림, 화면에서 나오는 빛에 의한 눈부심 ..

건강/근골격계 2020.02.26

시설 내 조리직이 겪는 근골격계 질환

근육, 건, 신경, 혈관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건강장해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작업활동이 반복적이며 지속적이거나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로 행하여지는 경우 병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고 통증도 상당해진다. 주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는, 작업대의 높이가 안 맞는 경우, 접시를 닦을 때 손과 손목을 비트는 반복 작업, 찜통을 올리고 내릴 때 쓰게 되는 과도한 힘, 취급하는 조리도구를 주로 한손으로만 반복적으로 작업하는 것 등이다. 좀 더 수월한 근무조건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한 적절한 작업대 설치, 도구 및 재료 운반용 카트의 사용 등이 필요하다. 또한 예방적인 차원에서는 무거운 물건을 들 때 2인 1조로 든다거나, 작업 전 주로 사용하는 관절부의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것..

건강/근골격계 2020.02.25

대퇴부가 가늘면 일찍 죽는다.

본 연구는 허벅지 둘레와 순환계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사망률에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연구이다. 덴마크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남자 1436명, 여자 1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0년동안 대상자의 심혈관 및 관상동맥 질환과 사망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얇은 허벅지를 갖는 남성 및 여성 모두, 높은 심혈관계 및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략 둘레가 약 60cm 미만인 사람에게 위험이 크게 있었다.

건강/연구 2020.02.24

슬랙스의 역사

슬랙스의 사전적인 의미는 ‘느슨하다’는 뜻의 형용사인 슬랙(slack)에서 따온 명칭이다. 1930년대에 입기 시작한 여유 있는 헐렁한 바지나 군대용 작업바지를 슬랙스라 불렀다. 그 후 주로 편하게 입을 수 있는 바지를 말했고, 점차 바지를 일반적으로 이렇게 불렀다. 스포츠웨어 ·평상복 ·작업복으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애용한다. 영국에서는 트라우저즈라고 불리기도 한다. 처음 시작은 여성용으로 만들어진 캐주얼한 바지였다고 하고, 작업용 복장으로 많이 쓰이다가 군대에 보급되면서 남성들에게도 인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청바지도 전쟁이 터지면서 군대에 납품되며 기본 아이템으로 자리잡은 것과 비슷해요. 몇몇 슬랙스 사진을 감상해봅시다.

패션/하의 2020.02.23

요통 운동치료

▶요통의 운동치료 목적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약화된 근력의 증강 -좌우 혹은 상하 비대칭적인 근력 불균형에 대한 교정 -단축된 근육이나 인대의 신장 -증가된 허리앞굽음증의 감소 -경직된 허리뼈부의 유연성 증진 1. 유연성 운동 척추세움근 스트레칭, 큰볼기근 스트레칭, 뒤넙다리근 위주의 스트레칭이 좋다. 2. 근력강화 운동 ▶윌리엄 운동(Wiliam`s exercise) -몸통 굽힘을 위주로 한다. -요추 전만 감소, 척추 후방을 넓힘. -단축된 고관절 굴곡근와 대퇴직근, 척주근을 신장시킨다. -복근과 볼기근, hamstring muscle의 근력을 강화한다. ▶골드웨이트운동(Golthwaite exercise) -등척성 수축을 이용한 배부근의 근력 강화에 초점을 둔 운동 ▶엠브라스 운동(Emblass ..

건강/근골격계 2020.02.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