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 255

자신경(ulnar nerve)

자신경은 위팔동맥의 안쪽을 내려가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뒤쪽의 자신경고랑을 지난다. 이 위이체서는 밖에서도 자신경을 만질수 있다. 아래팔의 자쪽손목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 자쪽 부위(반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새끼두덩근, 자쪽에 있는 2개의 벌레근, 모든 뼈사이근, 짧은 엄지굽힘근 깊은갈래, 엄지모음근을 관장한다.* 정중신경(median nerver): 가쪽신경다발과 안쪽신경다발이 결합해 형성된다. 위팔에서는 가지를 내지 않는다. 깊은가지는 아래팔의 일부 굽힘근 및 손바닥의 새끼두덩근에 분포한다. 겉가지는 손바닥과 손등의 자쪽 피부에 분포한다.* 안쪽위팔피부신경(medial brachial cutaneous nerve/C8,Th1): 팔신경얼기의 안쪽신경다발에서 갈라져 나온다. 위팔 안쪽 피부로 간다.*..

건강/신경계 2024.07.15

팔신경 얼기(brachial plexus)

팔신경얼기는 5번 목신경에서 1번 가슴신경의 앞가지가 만드는 신경얼기이다. 팔, 어깨, 가슴우리 위부분에 분포하는 가지를 낸다. 빗장 위에서는 5번과 6번 목신경이 위신경줄기, 7번 목신경이 중간신경줄기, 8번 목신경과 1번 가슴신경이 아래신경 줄기를 만든다. 빗장 아래에서는 세 신경줄기가 각각 앞가지와 뒤가지로 나뉜다. 위, 중간신경 줄기의 앞가지에서 가쪽신경다발이, 아래신경줄기의 앞가지에서 안쪽신경다발이, 세 줄기의 뒤가지에서 뒤신경다발이 형성된다. 안쪽신경 다발에서는 자신경이, 가쪽신경다발과 안쪽신경다발 일부에서 정중신경과 근육피부신경이, 뒤신경다발에서는 겨드랑신경이 나온다.

건강/신경계 2024.07.13

목신경

목신경은 목뼈의 척추사이구멍에서 나오는 7쌍에 1번 목뼈와 뒤통수뼈 사이에서 나오는 1쌍을 더해 총 8쌍이 있다. 뒤가지는 긴, 짧은등근 외에 목과 뒤통수의 피부에 분포한다. 1~4번 목신경의 앞가지는 목신경얼기를, 5~8번 목신경의 앞가지는 팔신경얼기를 구성한다. * 목신경얼기신경얼기란 여러 척수신경이 합쳐지거나 갈라지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목신경얼기는 1~4번 목신경의 앞가지가 이루는 신경얼기로 빗장위신경, 작은뒤통수신경, 큰귓바퀴신경, 가로막신경, 가로목신경을 낸다. 가로막신경은 운동신경이고 나머지는 감각신경이다. 특히 1~3번 목신경(C1~C3)은 목신경고리를 만들어 목뿔아래근육을 통제한다.

건강/신경계 2024.07.12

척수신경

31쌍의 척수신경은 각각 몸운동성, 몸감각성, 내장운동성, 내장감각성의 네 종류 섬유를 모두 혹은 일부 포함하고 있다. 척수신경은 척수에 드나드는 뒤뿌리와 앞뿌리가 결합해 생기며 가느다란 뇌막가지, 등쪽에 분포하는 뒤가지, 배쪽에 분포하는 앞가지, 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교통가지로 갈라진다.척수신경(총 31쌍)목신경 - 8쌍가슴신경 - 12쌍허리신경 - 5쌍엉치신경 - 5쌍꼬리신경 - 1쌍

건강/신경계 2024.07.11

더부신경(11번뇌신경-운동신경), 혀밑신경(12번뇌신경-운동신경)

더부신경은 목척수 상부의 더부신경핵에서 나오는 운동신경섬유(척수신경)가 숨뇌에서 나오는 운동신경섬유(뇌신경)와 결합해 생긴다. 목정맥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나와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운동을 관장한다.혀밑신경은 숨뇌에 있는 혀밑신경핵에서 나오는 몸운동신경으로, 혀밑신경관을 지나 머리뼈를 나온다. 숨뇌의 배쪽 가쪽에서 다수의 뿌리 형태로 나오는데, 혀밑신경관을 통과할 떄는 하나의 신경줄기가 된다. 혀몸통의 여러 근육 및 목뿔혀근, 턱끝혀근, 붓혀근에 분포한다. 턱끝목뿔근과 방패목뿔근가지는 1,2번 목신경에서 나오며 혀밑신경을 경유해 표적 근육에 도달한다.

건강/신경계 2024.07.10

미주신경(10번뇌신경-부교감신경, 운동신경, 감각신경)

미주신경은 숨뇌에서 나와 목정맥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나온다. 가장 큰 부교감신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교감신경에 대항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부교감신경섬유는 숨뇌의 미주신경 등쪽 운동핵에서 나와 심장과 식도에 가지를 내면서 내려가고, 가로잘록창자 중간 부분의 소화관까지 분포한다. 식도와 후두의 발생기 근육을 관장하는 운동신경은 의문핵에서 나온다. 미각섬유는 후두와 인두의 맛봉오리에서 느끼는 감각을 숨뇌의 고립로핵으로 나른다. 후두의 발성에 관여하는 여러 근육은 숨뇌의 의문핵에서 나와 미주신경에 포함되는 운동신경섬유의 통제를 받는다. 운동신경섬유를 포함하는 위후두신경과 아래후두신경은 미주신경에서 갈라진다. 위후두신경은 반지방패근육, 아래후두신경은 나머지 후두근육을 관장한다.

건강/신경계 2024.07.09

혀인두신경(9번 뇌신경-운동신경, 감각신경, 부교감신경)

혀인두신경은 주로 혀, 인두, 가운데귀의 몸감각을 전달함과 동시에 붓인두근의 수축을 담당하는 신경이다. 또한 혀 뒤1/3의 미각섬유 부교감신경섬유(귀밑샘)도 포함하고 있다. 숨뇌에서 나와 목정맥구멍을 통해 머리뼈로 나온다. * 붓인두근(stylopharyngeal muscle): 혀인두신경가지* 인두신경얼기(pharyngeal plexus): 혀인두신경과 미주신경이 만드는 신경얼기로, 인두근의 수축과 인두점막의 감각을 담당하며 음식물을 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혀(tongue): 혀에서의 혀인두신경은 혀 뒤 1/3 부분(성곽유두보다 뒤쪽)의 몸감각과 미각을 담당한다. 미각섬유는 숨뇌의 고립로핵에서, 몸감각신경섬유는 삼차신경핵에서 끝난다.

건강/신경계 2024.07.08

속귀신경(8번 뇌신경-감각신경)

속귀신경은 청각을 운반하는 달팽이신경 평형감각을 운반하는 안뜰신경을 포함한다. 평형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은 속귀의 안뜰핵에 있는 두극세포이다. 말초가지는 타원주머니, 원형주머니 또는 팽대능선의 유모세포에 접속하고 중추가지는 다리뇌의 안뜰핵에 도달한다. 청각을 전달하는 나선신경절세포는 나선기관의 유모세포에 접속하고 중추가지를 달팽이신경핵으로 보낸다.* 달팽이신경(cochlear nerve): 나선신경절세포의 축삭. 나선기관의 유모세포에서 감지한 청각 정보를 달팽이신경핵으로 전달한다.

건강/신경계 2024.07.07

얼굴뇌신경(7번 뇌신경-감각신경, 운동신경, 부교감신경)

얼굴신경은 얼굴근육을 관장하는 몸운동신경과 미각 및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중간신경으로 구성된다. 몸운동신경은 얼굴신경관을 지나 붓꼭지구멍에서 머리뼈를 나온다. 그 뒤 귀밑샘 속에서 갈라져 얼굴근육에 분포한다. 미각섬유는 부교감신경섬유와 함께 고실끈신경이 되며, 혀 앞 2/3의 미각을 담당한다. 부교감신경은 턱밑샘과 혀밑샘의 분비를 조절한다. 눈물샘, 입천장샘, 코샘은 큰바위신경을 경유한다.

건강/신경계 2024.07.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