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 255

피티를 위한 근육학(어깨밑근)

어깨밑근은 어깨관절의 모음 상태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근육으로 손상을 받게 되면 더욱더 단축성 긴장이 일어남으로 인해 어깨관절의 모든 움직임을 방해하고 특히 팔이 몸통에서 떨어지는 동작들에서 통증이 아주 심하고 제한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근육이다. 어깨밑근(어깨관절 모음하면서 안쪽돌림, 어깨를 오릴 때 삼각근에 대항하여 충돌 증후군 방지) 이는곳: 어깨 밑 오목 닿는곳: 위팔뼈 작은 결절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별명이 동결견 근육으로 오십견의 증상과 가장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근육이다. - 일상적인 동작들이 팔의 모음 및 안쪽 돌림 상태의 지속에 의해 짧아질 수 있는 근육이다. - 회전근개 근육중 하나로 강한 내회전성을 유지한다. - 방사통으로 손목의 통증이 올 수 있다..

건강/근골격계 2024.01.16

피티를 위한 근육학(넓은등근)

지속적으로 강화훈련을 해야하는 근육이다. 바른자세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넓은등근(어깨뼈 내림) 이는곳: 하부 5-6 흉추와 모든 요추의 극돌기, 천골의 정중능선, 장골능 외축순, 9-12늑골, 견갑골 하각 닿는곳: 상완골의 결절간구(앞쪽)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넓은등근은 어깨뼈의 내전과 함께 팔을 뒤로 폄시킬 때 가슴뼈와 목뼈의 만곡을 바로 잡아준다. - 하부 가슴뼈와 연관된 갈비뼈와의 관계를 인식해서 호흡도생각해야 한다. - 넓은 등근의 뿌리는 골반이므로, 골반도 생각해야 한다. - 여성의 경우 속옷 끈에 의해 압박 되기도 한다. - 척추 옆굽음증과도 관련이 깊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넓은 등근이 손상되면 조심스럽게 걷게 된다. 또한, 물건을 들면서 손상당하기 쉽다. - 책상에..

건강/근골격계 2024.01.09

피티를 위한 근육학(큰원근)

큰원근은 어깨뼈의 동작들 중 손의 세밀한 동작을 할 때 안정과 고정을 시키는 정적 수축 근육에 포함된다. 큰원근(위팔 폄, 위팔 모음, 위팔 안쪽돌림) 이는곳: 어깨뼈의 아래 가쪽모서리 닿는곳: 위팔뼈의 작은결절능성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안쪽돌림에 작용하는 근육이다. 내회전 근육들은 어깨밑근(견갑하근), 큰원근(대원근), 큰가슴근(대흉근), 넓은등근(광배근)이 있다. 광배근과 교차하여 밑으로 들어가 붙는다. - 주로 상지에 저항이 걸릴 때 통증이 자주 발생한다. - 어깨관절 내의 상완골두를 극하근과 함께 회전시키는 짝힘 근육이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주로 특정한 동작과 관련하여 통증이 발생하는데, 1) 파워 핸들이 장착되지 않은 자동차의 핸들을 회전시킬 때 내회전 동작시 통증이 발생하거..

건강/근골격계 2024.01.07

피티를 위한 근육학(작은원근)

가시아래근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외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이다. 작은원근(어깨관절의 외회전) 이는곳: 견갑골의 액와연 닿는곳: 상완골의 대결절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통증의 방사는 근육이 부착하는 바로 그 지점에 일어난다. - 관절을 고정시키는 핀과 같은 느낌을 주는 근육으로 과도한 회전들을 방어해준다. - 등세모근의 하부섬유의 수축 동작과 연계한다. - 어깨뼈의 과도한 외전과 내회전에 의한 가시아래근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근육이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손상시 통증이 방사되지는 않는다. - Mouth wrap around test시 제한된다.

건강/근골격계 2024.01.05

피티를 위한 근육학(가시아래근)

일반적으로 어깨뼈의 움직임시 위팔뼈머리를 안정시켜 동작이 원활하고 과도하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근육이다. 어깨뼈의 회전을 책임지고 있기도 하다. 가시아래근(어개 바깥돌림, 위팔뼈머리를 어깨관절와에 고정, 회전근개 근육 중 하나) 이는곳: 견갑골극, 극하와의 내측 2/3 닿는곳: 상완골 대결절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어깨 관절염 진단의 필수 근육 중 하나이다. - 어깨와 팔이 불편하여 잠을 못자는 불면증과도 관련이 있다. - 둥근 어깨(Round shoulder)의 체형에서, 가시아래근은 이완성 긴장으로 인해 외회전이 잘 되지 않고 거상을 어렵게 한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손상시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 견갑대의 피로를 유발 시킬 수 있고, 손의 쥐는 힘이 약화될 수 있..

건강/근골격계 2024.01.04

피티를 위한 근육학(가시위근)

가시위근은 둥근어깨(Round shoulder)와 관련이 깊다. 가시위근(팔을 옆으로 벌리는 초기 30도까지 작용) 이는곳: 어깨뼈 극상와 닿는곳: 윗팔뼈 대결절 상부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가시위근은 위팔뼈의 약간 앞쪽으로 부착한다. - 벌림과 굽힘(전방 거상)을 담당하는 중요한 근육이다. 세모근의 활동을 도와 어깨뼈가 움직일 때 상완골두를 안정시키는 근육이다. - 가시위근은 벌림 초기 각도에서 주로 작용한다. 원칙적으로는 어깨뼈 벌림 초기에서 말기까지 전부 관여하다. 즉 어깨관절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도와주는 역할이 크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탈구를 방지한다. 세모근 섬유들과 함께 팔을 매달고 있다고 보면 된다. 해당 기능이 일어날 때 상완골두를 움직여서 관절 내에서 관절두가..

건강/근골격계 2024.01.03

피티를 위한 근육학(목갈비근)

자주 마사지하고 자주 풀어줘야 하는 중요한 근육이다. 앞목갈비근(위에서 작용시 1번 갈비뼈를 올림, 아래에서 작용시 목뼈를 굽히고 돌림) 이는곳: C3~6 가로돌기의 앞 결절 닿는곳: 제2 갈비뼈 내측연 중간목갈비근(호흡시 첫번째 갈비뼈를 올림, 목뼈와 머리를 굽히고 돌리는데 도움, 목뼈를 옆으로 굽힘) 이는곳: C2~7 가로돌기 뒤결절 닿는곳: 제1늑골의 윗면 뒷목갈비근(위에서 작용시 2번 갈비뼈를 올림, 목뼈의 가쪽 굽힘, 목뼈와 머리를 굽히고 돌리는데 도움) 이는곳: C5~7 가로돌기의 뒤결절 닿는곳: 제 2늑골의 외측면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목갈비근은 목뼈를 보호하는 근육이다. 즉 목뼈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목뼈를 안정화시킨다는 것은 두개골까지 안정화시킨다는 말이다. - 팔 전체 및 몸통..

건강/근골격계 2024.01.02

피티를 위한 근육학(어깨 올림근)

어깨를 올림하는 근육이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어깨뼈의 윗각을 위로 올리는 근육이다. 이런 동작일 때 어깨 봉우리는 아래로 내려간다. 어깨 올림근(작용: 어깨뼈 올림, 하방회전) 이는곳: C1, 2, 3, 4의 횡돌기 닿는곳: 어깨뼈 윗각의 내측연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순간적인 혹은 지속적인 이완성 긴장 상태로 놓여 있다가 이완되어진 근육을 순간적으로 수축을 하게 될때 염좌를 잘 일으킨다. 어깨올림근의 손상은 다른 회전 근육들과는 달리 통증으로 인한 회전제한이 심하다. - 근육의 모양이 비틀어져 있다. 경추 1번에서 4번까지의 가로돌기의 후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굳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을 잘 하지 못하고 있는 근육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성화될 가능성이 크고 여성에게서 ..

건강/근골격계 2024.01.01

뇌, 신경 구조 공부(신경세포의 분류)4

신경세포는 기능에 따라 형태가 다른데,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A: 다극신경세포(multipolar cell), 하나의 축삭과 많은 가지돌기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속한다. B: 거짓홀극신경세포(pseudounipolar cell), 세포체에서 나온 축삭 하나가 두 개로 갈라진다. 척수신경과 일부 뇌신경의 감각세포가 이 형태를 띤다. C: 두극신경세포(bipolar cell), 축삭 두 개를 뻗는다. 한쪽은 가지돌기, 다른쪽은 축삭에 해당한다. 망막과 속귀의 평형기관, 청각기관에 나타난다. 홀극신경세포, 세포체에서 축삭 하나가 뻗어 나온다. 원시적인 동물에서 볼 수 있다. 사람의 경우 발생기에 잠시 존재하지만 성인에게는 없다. "말이집신경섬유와 민말이집신경섬유" 우리 몸에 있는 대..

건강/신경계 2023.12.28

뇌, 신경 구조 공부(신경조직)3

신경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에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의 작용을 돕는 신경아교세포가 있다. 신경세포는 긴 축삭과 많은 가지돌기를 가지고 있다. - 세포체(soma): 핵과 그 주위의 세포질을 포함한다.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니슬소체 등의 소기관이 포함된다. - 가지돌기(dendrite): 세포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많은 시냅스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세포체에서 나오는 세포질돌기로, 세포의 종류에 따라 밀집도가 다르다. 가지돌기 표면에는 더 뾰족하고 짧은 돌기와 혹처럼 튀어나온 부분이 보인다. 이러한 구조로 신경세포의 표면적을 넓혀 더 많은 시냅스를 형성할 수 있다. - 축삭(axon): 신경세포의 세포질돌기로, 세포체에서 받아들인 신경정보를 끝부분으로 전달한다. 축삭 내부에는 신경세포 특유의 세포 골격이 발달..

건강/신경계 2023.12.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