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 134

뇌의 구성과 성분(뇌의 축)

* 뇌와 머리뼈 - 사람의 뇌는 단단한 머리뼈 속에 들어 있으며 머리뼈 속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뇌와 척수 전체는 수막에 싸여 있다. * 뇌의 구분 - 뇌를 머리뼈에서 꺼내 겉으로 봤을 때 보이는 부분은 대부분 대뇌이다. 대뇌 정중에 해당하는 대뇌세로틈세를 따라 시상 절개를 하면 뇌의 속을 볼 수 있다. 뇌줄기의 각 부위는 꼬리쪽부터 숨뇌, 다리뇌, 중간뇌 순서로 배열된다. 부위는 거의 직선으로 배열되며 사이뇌가 그 뒤를 잇는다. 대뇌는 좌우 대뇌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부분에 비해 매우 발달해 있다. * 사람의 대뇌반구는 중간뇌 밑의 뇌졸기와 거의 직각을 이룬다. 따라서 대뇌에서는 머리,꼬리쪽, 위, 아래가 등, 배쪽 이지만, 뇌줄기에서는 앞뒤가 배,등쪽이 된다. 방향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

건강/신경계 2024.01.25

시냅스(synapse)

시냅스란 신경세포의 종말과 가까운 신경세포나 뼈대근육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받고 전달하는 장치이다. 신경정보가 종말에 도착하면 시냅스소포가 세포막과 합쳐져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틈새로 방출한다. 신경전달물질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쪽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를 자극해 신경정보를 전달하는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는 신경전달물질을 재흡수하거나 소포로 보내는데 사용된다. * 활동전위: 축삭으로 전도된 활동전위는 신경종말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시킨다. * 신경종말: 신경정보를 전달하는 쪽 신경의 끝부분 * 시냅스소포: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하는 주머니로, 활동전위가 신경 끝부분에 이르면 구멍을 통해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틈새로 방출한다. * 신경전달물질: 저분자의 화학물질로 ..

건강/신경계 2024.01.24

신경아교세포

* 별아교세포: 신경세포와 혈관 사이에 위치하며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 * 뇌실막세포: 뇌실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 * 말이집: 희소돌기아교세포와 세포질이 얇게 펼쳐져 축삭 주위를 여러겹 둘러싸는 과정으로 형성된 칼집 모양의 구조 * 희소돌기아교세포: 중추신경계통에서 말이집을 형성 * 미세아교세포: 포식기능이 있는 소형 신경아교세포 * 중추신경계통의 신경아교세포 - 중추신경계통에는 신경세포보다 훨씬 많은 신경아교세포가 있다. 신경아교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와 별아교세포, 미세아교세포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독자적인 기능을 하며 신경세포의 작용을 돕는다. * 말초신경계통의 신경아교세포 - 말초신경계통에 있는 신경아교세포에는 말이집을 형성하는 슈반세포(Schwann cell)가 있다. 그 외에 신경절세포 주..

건강/신경계 2024.01.23

피티를 위한 근육학(위팔 세갈래근)

잘 낫지 않는 주관절 통증의 대표적인 근육이다. 상완삼두근이라고도 한다. 위팔세갈래근(팔꿉관절 폄, 어깨관절 뒤로 펴고 모음(긴갈래)) 이는곳: 어깨뼈 접시아래결절(긴갈래), 위팔뼈 노신경고랑 아랫부분(안쪽갈래), 위팔뼈 노신경고랑 윗부분(가쪽갈래) 닿는곳: 자뼈 팔꿈치머리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상완이두근과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다. - 손상시 팔꿈치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강화시 쥐가 날 수 있다. - 대원근이나 소원근의 주행방향과 교차한다. - 어깨가 굽은 사람들에게서 주로 이완성 과긴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여성의 경우 근육이 약화되어 지방이 많이 축척되는 경우가 많다. - 크러치나 목발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손상되기 쉽다. - 볼링과 같이 ..

건강/근골격계 2024.01.22

피티를 위한 근육학(위팔 두갈래근)

위팔 두갈래근은 먼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크게 3가지의 기능을 한다. 1. 팔꿉관절의 굽힘기능과 아래팔을 회외시킨다. 2. 어깨관절의 굽힘 기능과 외전에 참여한다. 3. 어깨관절 굽힘시 힘을 담당한다. 위팔두 갈래근(아래팔의 굽힘, 뒤침, 팔의 굽힘) 이는곳: 긴갈래(어깨뼈의 위관절오목 결절), 짧은갈래(어깨뼈의 부리돌기) 닿는곳: 노뼈거친면과 팔꿈치 안쪽의 근막부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통증은 주로 팔꿉관절과 어깨관절에 있고 근육 부위에는 거의 없다. - 이두박근은 긴장이 항시 존재하나 잘 인식하지 못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이 굳어 있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다. 이두박근을 주로 강화를 많이 한 사람의 경우 과도하게 비대해진 경우가 있고 팔꿈치를 피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 근육의..

건강/근골격계 2024.01.21

피티를 위한 근육학(위팔근)

대표적인 적근(Red muscle)이다. 적근들은 지구력이 좋고 피로에 저항력이 강하며 산소를 잘 소비하고 지방분해를 잘 한다. 일상에서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는 팔꿈치를 움직이는 부지런한 근육이다. 위팔근(팔꿉관절 굽힘) 이는곳: 위팔뼈의 앞면과 먼쪽의 절반 닿는곳: 자뼈의 거친면, 갈고리돌기(corocoid process), 관절주머니와 근육사이막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일반적인 사용으로 피로를 잘 느끼지 못한다. - 엄지손가락의 통증도 고려해야 한다. - 손의 힘과도 관련이 깊고 저림증상과도 관련이 있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팔꿉관절을 굽힌 상태 혹은 편 상태에서 오랜시간 작업을 할 경우 손상당하기 쉽다. - 아이를 지속적으로 안고 있는 것과 같이 과부하를 오랫동안 하는 경우 손상된다.

건강/근골격계 2024.01.20

피티를 위한 근육학(부리위팔근)

오구완근이라고도 부르는 부리위팔근이다. 아기를 업는 동작과 같이 팔을 뒤로 돌리고 있을 경우 쉽게 피로해지는 근육이다. 부리위팔근(어깨 굽힘, 내전/ 상완골의 골두를 견갑골의 관절와에 고정/ 수평내전의 일차적 운동근) 이는곳: 오구돌기의 정점 닿는곳: 상완골의 중간 바로 근위부의 상완삼두근과 이두근의 사이의 내측부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상완삼두근의 장두와 함께 광배근에 대한 저항을 하는 근육이다. - 상완근에 이어지는 근육이므로 상완근의 질환과도 함께 생각해보아야 한다. - 손상당할 경우 뒷주머니에 손을 넣지 못한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일반적으로 통증이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다. - 평상시 머리를 반듯하게 놓고 가슴을 펴는 습관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 아주 부드러운 근육이다.

건강/근골격계 2024.01.19

피티를 위한 근육학(어깨세모근)

세모근은 어깨관절을 보호해주는 근육으로 이 세모근이 손상되면 위팔뼈가 탈구되기도 한다. 세모근은 어깨관절의 모든 움직임에 관여한다. 어깨세모근 전부섬유(어깨관절 굽힘, 안쪽 돌림) 이는곳: 쇄골의 1/3외측 닿는곳: 상완골 융기, 삼각근 조면 어깨세모근 중부섬유(어깨관절 벌림) 이는곳: 견봉 닿는곳: 상완골 융기, 삼각근 조면 어깨세모근 후부섬유(어개관절 폄, 바깥돌림) 이는곳: 견갑골극의 외측부 닿는곳: 상완골 융기, 삼각근 조면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조금 다치더라도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 강한 근육이다. - 목의 굽힘근들의 과부하 기전에 관련이 있다. - 평소에 단련시켜두면 좋은 근육이다. 전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 - 이완시에도 상지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므로 환자 스스로가 평상시 통증을 느끼지..

건강/근골격계 2024.01.18

피티를 위한 근육학(마름근)

마름근, 다른 말로 능형근이라고 부른다. 마름근은 어깨뼈를 모아주는 근육으로 등세모근 전체 섬유들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상흉추의 전만과 후만 그리고 측만에 관여한다. 심장과도 관계되는 근육이다. 마름근(어깨뼈 내전, 올림, 회전/어깨뼈를 뒤로 젖히고 하방회전시킨다/C7-T5까지 척추뼈 안정화작용) 이는곳: C7-T5추골의 극돌기 닿는곳: 견갑골의 내측연 소능형근은 항인대,C7,T1의 극돌기에서 견갑골극 기저부에 부착.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어깨뼈를 외전시키는 근육인 앞톱니근과 함께 살펴봐야 한다. - 소능형근은 견갑골극에 부착하는데 위쪽 견갑골 상각에는 견갑거근이 부착되어 올라간다. 소능형근은 견갑거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상각에 대한 문제시 특히 중요하다. - 심장과 관련이 깊다. 전체..

건강/근골격계 2024.01.17

피티를 위한 근육학(어깨밑근)

어깨밑근은 어깨관절의 모음 상태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근육으로 손상을 받게 되면 더욱더 단축성 긴장이 일어남으로 인해 어깨관절의 모든 움직임을 방해하고 특히 팔이 몸통에서 떨어지는 동작들에서 통증이 아주 심하고 제한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근육이다. 어깨밑근(어깨관절 모음하면서 안쪽돌림, 어깨를 오릴 때 삼각근에 대항하여 충돌 증후군 방지) 이는곳: 어깨 밑 오목 닿는곳: 위팔뼈 작은 결절 근육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 별명이 동결견 근육으로 오십견의 증상과 가장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근육이다. - 일상적인 동작들이 팔의 모음 및 안쪽 돌림 상태의 지속에 의해 짧아질 수 있는 근육이다. - 회전근개 근육중 하나로 강한 내회전성을 유지한다. - 방사통으로 손목의 통증이 올 수 있다..

건강/근골격계 2024.01.16
반응형